아게오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게오 사건은 1973년 3월 13일, 일본 국철 노동조합의 준법투쟁으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폭동 사건이다. 당시 만성적인 적자와 과도한 노동 환경에 놓인 국철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법규를 준수하는 태업을 벌였고, 이는 극심한 열차 지연과 혼잡을 야기했다. 아게오역에서 열차 운행 중단 방송이 나오자, 승객들의 분노가 폭발하여 역장 폭행, 열차 파손 등의 폭력 사태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국철의 구조적 문제, 노동조합의 강경 투쟁, 도시화에 따른 인구 증가와 정보 전달 시스템 미비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다. 아게오 사건은 이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졌으며, 국철 분할 민영화 논의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도 공공 서비스의 질, 노사 관계, 성숙한 시민 의식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과거의 교훈을 잊지 않고 사회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건 - 니시야마 사건
니시야마 사건은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 당시, 니시야마 기자가 입수한 밀약 문서를 폭로하면서 발생했고, 이는 미일 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의 이면에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부담한다는 내용의 밀약이 존재함을 드러낸 사건이다. - 일본의 사건 - TBS 비디오 문제
TBS 비디오 문제는 1989년 TBS가 옴진리교 비판 인터뷰 비디오를 옴진리교 간부에게 보여주면서 사카모토 쓰쓰미 변호사 일가족 살해 사건의 진실 은폐 의혹을 낳았고, 보도 윤리 위반, 내부 조사 실패, 시청자와의 신뢰 훼손을 초래한 사건이다. - 1973년 3월 - 1973년 프랑스 총선
1973년 프랑스 총선은 사회 변화와 정당 간 경쟁을 보여주는 선거로, 우파 연합이 승리하고 좌파 연합이 주요 기업 국유화를 주장했다. - 1973년 3월 - 제45회 아카데미상
제45회 아카데미상은 1973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대부』와 『카바레』가 주요 부문에서 경쟁하여 각각 작품상과 감독상을 받았으며, 말론 브란도가 남우주연상 수상을 거부하고 사친 리틀페더를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여 논란이 되었고, 찰리 채플린의 『라임라이트』가 작곡상을 수상했다. - 1973년 일본 - 수도권 국전 폭동
1973년 4월 24일 일본 수도권 국철 노조의 준법 투쟁으로 인한 열차 지연과 혼잡으로 오미야, 아카바네, 우에노, 신주쿠 등 38개 역에서 3만 2천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여 시설 파손, 방화, 약탈 등의 행위로 천만 엔 이상의 재산 피해와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수도권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 1973년 일본 - 김대중 납치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은 1973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야당 정치인 김대중을 도쿄에서 납치하여 한국으로 강제 연행한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반대 세력 탄압 목적과 대한민국 주권 침해 논란, 국제적 문제 비화, 한일 관계 악영향,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아게오 사건 | |
---|---|
위치 정보 | |
사건 개요 | |
명칭 | 아게오 사건 |
장소 | 일본 사이타마현 아게오시 아게오역 |
날짜 | 1973년 (쇼와 48년) 3월 13일 |
시간 | 7시 30분경 |
대상 | 동력차노조 조합원 |
개요 | 연이은 열차 지연에 분노한 승객들이 폭동을 일으킴 |
원인 | 동력차노조 조합원의 "준법투쟁" |
손해 | 역, 열차 설비 등 |
2. 사건 배경
1970년대 일본의 국철에서는 임금인상 및 노동환경개선, 정리해고 반대 등을 목표로 노동쟁의가 빈번히 일어났다. 일본의 법률상 공공기업체 직원인 국철의 노동조합원에 의한 노동쟁의는 '''공공기업체등노동관계법'''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합측은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형식으로 쟁의를 진행하였다. 이것을 준법투쟁이라 부른다.
당시 전후 베이비붐 세대에 의하여 젊은 층의 인구가 급증했던 일본은 시가지의 확대와 더불어 통근·통학 승객이 계속 증가추세에 있었고 열차는 종종 한계인원을 넘어 철도원의 근무는 과도한 상태였고, 아침의 출근시간대의 중장거리 열차는 이미 혼잡이 만성화되어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법규를 준수한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종종 실제 열차운용은 법규를 벗어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국철의 노동자들은 이 상태를 역이용하여 정해진 법규에 따라 세밀한 운행을 추진하는 태업을 전개했다. 열차 기사가 사소한 이유로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을 반복하여, 시간표대로 운행이 되지 않게 만드는 식이었다.
한편 철도 이용객의 입장에서는 공식 파업에 의한 결근 및 결석은 직장에서 인정을 받지만, 준법투쟁은 정식 파업이 아니므로 이러한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준법투쟁이 진행되자, 승객들은 살인적인 혼잡과 지연을 반복하게 되어 이용자들의 불만이 점점 고조되었다. 한편, 이러한 준법투쟁에 따라 수도권으로의 생활물자 수송 등에 정체가 발생하여 물가가 오르게 되는등, 준법투쟁에 대한 철도 이용객의 불만은 날로 높아만 갔다.
국철(日本국유철도)에서는 당시 임금 인상과 노동 환경 개선 및 합리화 반대를 목표로 노동 투쟁이 빈번하게 반복되었지만, 공공기업체 직원이었던 국철노동조합(国労) 등의 노동조합원들은 행정집행법인의 노동관계에 관한 법률(公共企業体等労働関係法, 공노법) 제17조에 의해 노동쟁의(争議行為), 즉 파업(ストライキ)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래서 노조 측은 운전 안전 규범 등의 여러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함으로써 오히려 열차 운행이 지연되는 것을 역이용하여, 운전 안전 규범 등의 여러 규칙을 "준수"하는 것으로 노동 투쟁의 수단으로서 "순법투쟁(遵法闘争)"을 자주 벌였다.
참고로, "순법"이라고는 하지만 일본국정부(자유민주당(自由民主党(日本)) 정권)는 1956년(昭和31年)에 이러한 형식을 취하는 노동 투쟁을 "위법"(犯罪)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판례 형성에는 이르지 못하고, 하지 말라는 지도의 범위에 그쳤다.
1970년대 당시, 국철동력차노동조합(動労)은 국철 경영진에게 두 가지 요구를 하고 순법투쟁을 실시하였다.
그 요구는 하나는 踏切(건널목) 사고(踏切事故) 방지를 위해 모든 踏切(건널목)에 경보기(警報機)와 차단기(遮断機)를 설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안전을 위해" 총 길이 2킬로미터 이상의 터널(トンネル)이 있는 구간과 심야 시간대의 기관사를 2인 근무로 하는 것이었다. 전자의 요구에 대해 경영진은 전부는 무리지만 실시하겠다고 했지만, 후자는 거부했다. 참고로, 기관사 2인 근무는 증기기관차(蒸気機関車) 시대의 잔재로, 증기기관차에서는 운전을 담당하는 기관사(機関士)와 석탄(石炭)을 보일러에 투입하는 기관조수(機関助士)가 운행상 필요했다. 그러나 철도의 전철화(鉄道の電化) 진전과 기관차(気動車) 도입 등에 의한 동력 현대화 계획(動力近代化)이 추진되어 증기기관차를 전폐하는 방향으로 향했고, 자동열차보안장치(自動列車保安装置)에 의해 기관조수의 역할이 없어지고 기관사 1명으로 충분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경영진과 동노는 1972년(昭和47年) 5월까지 증기기관차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관사 1인 근무를 원칙으로 하는 노동 협약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동노는 증기기관차의 전폐가 앞당겨진 것에 반발하여, 1973년(昭和48年)이 되어 2인 근무 이야기를 다시 꺼내 2월 1일부터 "제2차 순법투쟁"이 시작되어 3월 5일부터 산발적으로 전국적으로 순법투쟁을 실시했다. 결과적으로 다이아(열차 운행 계획)의 혼란이 발생하게 되었다.
사건 당일에는 전국적으로 순법투쟁의 영향이 있어 폭동이 발생하지 않은 각 노선에서도 대규모 지연이 발생했다. 13일 12시 시점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 화물열차 운행 편수: 평상시의 60%까지 감소
- 주오쾌속선(中央線快速): 운휴 40편
- 난부선(南武線): 32편
- 게이힌토호쿠선(京浜東北線): 30편
- 기타 수도권 본부 관내 운휴 편수 합계 220편, 영향 인원 약 71만 명
- 수도권 본부 관내 개찰 중지: 12개 역 총 46회
- 오사카 순환선(大阪環状線): 오전 운휴 편수 66편. 오사카 지역 영향 인원 약 30만 명
2. 1. 일본 국철의 노동 환경과 준법투쟁
1970년대 일본 국철은 만성적인 적자와 정리해고 문제에 직면해 있었으며, 임금 인상 및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쟁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6] 국철의 노동조합원들은 공공기업체 등 노동관계법에 의해 파업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준법투쟁이라는 형태로 쟁의를 진행했다.[5]당시 일본은 전후 베이비붐 세대의 증가로 인해 통근·통학 승객이 급증하고 있었고, 열차는 한계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철도원들의 근무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이에 국철 노동자들은 법규를 준수한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을 역이용하여, 법규에 따라 세밀한 운행을 하는 태업을 전개했다. 이는 열차 지연을 유발하여 이용객들의 불만을 고조시켰고, 수도권 생활 물자 수송에 차질을 빚어 물가 상승을 야기하기도 했다.[5]
국철노동조합(국노)과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등 주요 노동조합은 임금 인상, 노동 환경 개선, 합리화 반대 등을 요구하며 준법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동노는 건널목 사고 방지를 위한 경보기 및 차단기 설치와 심야 시간대 기관사 2인 근무를 요구했다. 기관사 2인 근무는 증기 기관차 시대의 잔재였으나, 철도의 전철화와 기관차 도입 등 동력 근대화 계획에 따라 기관사 1인 근무가 가능해졌다. 경영진은 1972년 5월까지 기관사 1인 근무를 원칙으로 하는 노동 협약을 체결했지만, 동노는 증기 기관차 전폐가 앞당겨진 것에 반발하여 1973년 2월부터 '제2차 준법투쟁'을 시작했다.
2. 2. 수도권 통근 열차의 혼잡과 승객 불만
1970년대 일본에서는 전후 베이비붐 세대의 영향으로 젊은 층 인구가 급증하면서 시가지가 확대되고 통근·통학 승객이 계속 증가했다. 특히 도쿄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던 다카사키선 연선은 인구 증가와 함께 통근·통학객이 급증하여 보통 열차의 혼잡이 만성화된 상황이었다.[1]국철은 만성적인 적자 때문에 통근형 전차·근교형 전차 증차를 충분히 하지 못했고, 차량 부족을 메우기 위해 급행형 전차를 아침 저녁 시간대 보통 열차에 투입했다.[1] 그러나 급행형 전차는 좌석 구조와 좁은 통로 때문에 혼잡한 통근 시간대 승객 처리에 부적합하여 이용객의 불만을 더욱 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철 노동조합은 임금 인상, 노동 환경 개선, 정리해고 반대 등을 목표로 준법투쟁을 벌였다.[1] 이는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며 운행하는 태업의 일종이었다. 열차 기사들이 사소한 이유로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하여 열차 운행이 시간표대로 되지 않게 만드는 방식이었다.
준법투쟁으로 인해 살인적인 혼잡과 지연이 반복되자 이용자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1] 특히 3월 12일부터 다카사키선 운행에 종사하는 동로 소속 조합원들이 준법투쟁을 실시하면서, 3월 13일 화요일 아침 출근 시간대 열차 지연은 더욱 심각해졌다.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준법투쟁 이후 아게오역 - 우에노역 간 통상 37분 걸리던 거리가 3시간 정도 걸리게 되었다고 한다.[1]
3. 사건 전개
1973년 3월 13일, 이 날도 국철 노동조합원들은 준법투쟁 중이었고, 다카사키선 가고하라발 우에노행 상행보통열차가 14분 늦은 7시 20분에 아게오역 1번선에 진입했다. 상행 홈에는 이미 3,000명 정도의 승객들로 가득 차 있었고, 열차에 다 타지 못한 승객이 많아 아게오 역 측에서는 개찰구에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발 마에바시발 우에노행 상행 보통열차도 2번선에 진입했다. 이 열차 역시 초만원으로 발차할 수 없는 상태였으며, 이 두 열차를 2역 앞의 오오미야에서 운행 중지한다는 판단이 내려져 구내 안내 방송이 나왔다. 그 결과 일부 승객이 분노하여 기관사에게 항의하기 위해 운행실에 몰려 들었다. 또한 수 명이 선로로 내려와 돌을 던져 유리가 깨지자,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도 폭도화하기 시작했다. 살기등등한 승객을 보고 안전의 위협을 느낀 기관사들은 업무를 방기한 채 아게오 역 역장실로 도망쳤다.
기관사가 없는 열차는 당연히 계속 멈춰 있었고, 승객들의 분노는 더해만 갔다. 열차 내 및 구내 승객 약 1만여 명은 폭도화되어 역장실에 난입하여 안에 있던 역장에게 망치 등으로 후려쳐 부상을 입혔다(역장은 전치 5주의 부상을 입고 치료를 받았다). 또한 다른 승객들은 정차 중인 전차의 창문 유리 및 헤드라이트 등을 부수고 운전 설비를 파괴하였다. 역내 각종 설비도 파괴하기 시작했다. 더욱이 아게오 역에 진입하지 못한 채 300미터 앞에서 정차하고 있던 특급 열차 도키 2호에도 돌덩이가 날아들어 유리가 파손되었다. 혼란을 틈타 역 사무실에서는 현금 20만 엔이 사라졌고, 역은 폭도화한 승객들에게 점거되어 무법지대가 되어 소요가 역 주변까지 확산되었다. 사이타마현 경찰은 기동대원 550명을 파견하여 폭동을 제압하고자 했으나, 수적 열세 때문에 서로 노려보는 수밖에 없었다.
이 폭동은 같은 다카사키선의 다른 역인 오케가와역, 기타모토역, 고노스역, 구마가야역 등으로 확산, 도호쿠혼선 연선의 사이타마현 각 역으로 번져 이 일대 치안이 악화되었다. 미야하라역에서는 승객들이 역무원을 납치하여 4킬로미터 떨어진 오미야역까지 끌고 갔으며(오미야 역에서도 폭동 발생), 아게오 역 주변은 11시간에 걸쳐 불통이 되어 운행 재개 후에도 정상적인 운행이 안 되어 대행 버스까지 동원하는 등, 혼란의 도가니였다.
이 사건의 체포자는 약 7명으로, 혼란을 틈타 금품을 턴 사람, 취재하러 온 기자를 폭행한 사람 등이었다.
3. 1. 아게오역 폭동의 발생
1973년 3월 13일, 국철 노동조합원들의 준법투쟁 중 다카사키선 가고하라발 우에노행 상행보통열차(832M)가 14분 지연된 7시 20분에 아게오역 1번선에 도착했다.[1] 상행 홈에는 이미 3,000명 정도의 승객이 가득 차 있었고, 열차에 타지 못한 승객이 많아 아게오 역에서는 개찰구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마에바시발 우에노행 상행 보통열차(1830M)도 2번선에 진입했다. 이 열차 역시 초만원으로 발차할 수 없는 상태였다.832M은 가와라발 우에노행 보통열차로, 169계 급행형 전차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우에노역에 도착한 후 나에바행 급행 「묘코 2호」로 운행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그린차 2량과 반실 식당차(뷔페차) 1량이 연결되어 있었다. 보통열차에서는 이 객차들이 폐쇄되어 보통차가 적었다. 832M에는 정원 840명에 대해 이미 3,000명 이상이 승차하고 있었고, 아게오역 승강장에 있던 약 5,000명의 이용객 대부분이 승차하지 못했다.
1830M은 마에바시발 우에노행 상행 보통열차로, 165계 급행형 전차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52분 지연되어 도착했다. 이 열차도 정원 944명인데 4,000명 이상이 승차하는 초만원 상태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나중에 도착한 1830M 열차를 832M 열차보다 먼저 출발시키고, 두 열차 모두 오미야에서 운행을 중단한다는 역내 방송이 나왔다. 이 방송은 폭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격분한 승객들은 832M 열차의 운전실 창문을 깨고, 위험을 느낀 기관사가 아게오역 역장실로 피신했다.[2] 승객들은 역장실로 몰려들어 전화(철도)를 파손하고 역장과 차장에게 부상을 입혔다.[2] 1830M 열차의 기관사와 차장도 직무를 유기하고 도망쳤다.[1]
3. 2. 폭동의 확산과 진압
1973년 3월 13일, 일본국유철도 노동조합의 준법투쟁 중 다카사키선 가고하라발 우에노행 상행보통열차가 14분 지연되어 7시 20분에 아게오역 1번선에 진입했다. 당시 상행 홈에는 3,000명 이상의 승객이 몰려 있었고, 열차에 타지 못한 승객이 많아 아게오 역 측에서는 개찰구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에바시발 우에노행 상행 보통열차도 2번선에 진입했으나, 초만원으로 발차할 수 없는 상태였다. 오미야역에서 이 두 열차의 운행 중지 결정이 내려지자, 일부 승객이 분노하여 기관사에게 항의하고 선로에 투석하여 유리가 깨지는 등 폭력적인 양상을 보였다.[2] 기관사들은 위협을 느껴 업무를 방기하고 아게오 역 역장실로 도망쳤다.열차가 계속 멈춰 있자 승객들의 분노는 더욱 커졌다. 약 1만여 명의 승객들이 폭도화되어 역장실에 난입, 역장을 폭행하여 전치 5주의 부상을 입혔다. 또한 정차 중인 전차의 창문 유리, 헤드라이트, 운전 설비 등을 파괴하고 역내 각종 설비를 파괴했다. 아게오 역에 진입하지 못한 채 300미터 앞에서 정차하고 있던 특급 열차 도키 2호에도 돌덩이가 날아들어 유리가 파손되었다. 혼란을 틈타 역 사무실에서 현금 20만 엔이 사라졌고, 역은 폭도화한 승객들에게 점거되어 무법지대가 되었다.[4] 사이타마현 경찰은 기동대원 550명을 파견했으나, 수적 열세로 인해 폭동을 즉시 제압하지 못했다.
이 폭동은 다카사키선의 오케가와역, 기타모토역, 고노스역, 구마가야역 등과 도호쿠 본선 연선의 사이타마현 각 역으로 확산되었다. 미야하라역에서는 승객들이 역무원을 납치하여 4킬로미터 떨어진 오미야역까지 끌고 가는 사건도 발생했다. 아게오 역 주변은 11시간에 걸쳐 불통되었고, 운행 재개 후에도 정상적인 운행이 어려워 대행 버스가 동원되는 등 혼란이 극심했다.
7시 30분 이후 시간 순서에 따른 상황은 다음과 같다.
- 7시 31분 : 쿠마가야(熊谷) 철도경찰서, 사이타마(埼玉県) 경찰에 출동 요청.
- 8시 30분 : 다카사키(高崎)선 각 역에 도착 또는 통과하는 승차권 판매 중지. 오미야(大宮) 철도병원은 구호반을 현지에 파견.
- 8시 35분 : 상오역장과 부역장이 부상으로 입원, 역원 전원 도주.
- 8시 50분 : 동선 상행 열차를 조에쓰(上越)선 가미스이(水上)역에서 전면 정지, 신호 보안 요원을 현지에 파견. 이후 보통 열차만 다카사키(高崎)에서 회차 운행.
- 9시 00분 : 다카사키선 연선 각 역의 승객, 쿠마가야(熊谷) 1만 명, 상오(上尾) 6,000명 등 총 3만 명까지 증가.
- 9시 10분 : 기동대, 공안 등이 상오역에 도착. 처음 70명으로는 역 주변에 모인 다수(1만 2천 명)의 통근객에 대해 무력했기 때문에 700명으로 증원되었다.[2]
- 9시 45분 : 상오역 승객 1만 명이 됨. 이 무렵부터 기동대의 정리가 시작되고, 투석·파괴 행위는 진정됨.
- 10시 00분 : 다카사키선 정지 열차 약 20대. 정지에 의한 영향 인원 약 5만 명.
- 10시 07분 : 미야하라(宮原)역장, 부역장이 승객에게 납치되어 오미야(大宮)역까지 걸어가게 됨.
- 10시 10분 : 쿠마가야(熊谷)운수 상오(上尾)지점 내에 현지 대책 본부 설치. 사이타마(埼玉県) 경찰은 대책 본부를 상오(上尾)경찰서에 설치하고 군마(群馬)현 경찰에도 지원 요청. 가와고에(川越)선 835D 열차에 승객이 투석하여 기관사와 차장이 국철 오미야(大宮) 공장에 피난. 이로 인해 가와고에(川越)선도 운행 불가가 됨.
- 10시 30분 : 도호쿠(東北)본선 하행 급행 ‘마쓰시마(まつしま) 1호’에 투석. 현지 대책 본부장으로 국철 본사 공안 본부장, 여객국 도가와(戸川) 조사역이 현지에 파견됨.
- 10시 40분 : 도호쿠(東北), 다카사키(高崎), 가와고에(川越)선의 전면 운행 중지.
- 10시 45분 : 오미야(大宮)역 8번, 9번 승강장 운전 사무실이 승객에게 점거됨. 운수성 관동 지방 자동차국은 관내 4 사업소에 대체 수송 버스 7대를 준비하고, 상오(上尾)역 승객을 오미야(大宮)까지 수송하기 위해 민간 버스 등 33대를 준비.
- 11시 07분 : 오미야(大宮)역의 혼란은 진정됨.
- 11시 20분 : 도호쿠(東北)본선 운행 재개.
- 11시 30분 : 가와고에(川越)선 운행 재개.
- 11시 50분 : 상오(上尾)역 승객 6,000명.
- 12시 05분 : 이소자키 에이(磯崎叡) 국철 총재, 메구로 케이지로(目黒今朝次郎) 동로 위원장의 정상 회담 시작. 국철은 정오에 오미야(大宮)역 공안실에 현지 대책 본부를 설치.
- 12시 35분 : 도쿄(東京) 전무구에 “13시 5분에 도쿄(東京)역을 폭파한다”는 장난 전화.
이 폭동으로 다카사키(高崎)선 오미야(大宮)-다카사키(高崎) 간 전 구간이 운행 불가가 되었고, 주변의 오케가와(桶川)역, 키타모토(北本)역, 코노스(鴻巣)역, 쿠마가야(熊谷)역 등에서도 역사 창문이 깨지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으로 약 7명이 체포되었는데, 혼란을 틈타 금품을 훔치거나 취재 기자를 폭행한 혐의였다.[4] 폭동 당시 승객 간의 싸움, 폭행, 투석 등으로 인해 9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4. 사건의 원인
1970년대 일본의 국철에서는 임금인상 및 노동환경개선, 정리해고 반대 등을 목표로 노동쟁의가 빈번히 일어났다. 일본의 법률상 공공기업체 직원인 국철의 노동조합원에 의한 노동쟁의는 '''공공기업체등노동관계법'''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합측은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형식으로 쟁의를 진행하였다. 이것을 준법투쟁이라 부른다.
당시 전후 베이비붐 세대에 의하여 젊은 층의 인구가 급증했던 일본은 시가지의 확대와 더불어 통근·통학 승객이 계속 증가추세에 있었고 열차는 종종 한계인원을 넘어 철도원의 근무는 과도한 상태였고, 아침의 출근시간대의 중장거리 열차는 이미 혼잡이 만성화되어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법규를 준수한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종종 실제 열차운용은 법규를 벗어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국철의 노동자들은 이 상태를 역이용하여 정해진 법규에 따라 세밀한 운행을 추진하는 태업을 전개했다. 열차 기사가 사소한 이유로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을 반복하여, 시간표대로 운행이 되지 않게 만드는 식이었다.
한편 철도 이용객의 입장에서는 공식 파업에 의한 결근 및 결석은 직장에서 인정을 받지만, 준법투쟁은 정식 파업이 아니므로 이러한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준법투쟁이 진행되자, 승객들은 살인적인 혼잡과 지연을 반복하게 되어 이용자들의 불만이 점점 고조되었다. 한편, 이러한 준법투쟁에 따라 수도권으로의 생활물자 수송 등에 정체가 발생하여 물가가 오르게 되는등, 준법투쟁에 대한 철도 이용객의 불만은 날로 높아만 갔다.
4. 1. 국철의 구조적 문제
1970년대 일본 국철은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관료주의와 비효율적인 경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는 서비스 개선 노력 부족으로 이어져 이용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특히, '국철 직원 전용 열차'와 같은 특혜 사례는 국철 직원들의 안일한 근무 태도와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지적된다.당시 일본은 전후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급증으로 통근·통학 승객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였고, 열차는 종종 한계 인원을 초과하여 철도원의 근무는 과도한 상태였다. 아침 출근 시간대의 중장거리 열차는 이미 혼잡이 만성화되어 있었으며, 법규를 준수한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실제 열차 운용은 법규를 벗어나고 있었다.
국철은 만성적인 적자로 인해 차량 투입 및 열차 증편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밖에 없었다. 수송력을 확보하기 위해 근교형 전동차를 최고 혼잡 시간대에 집중 운행하고, 그 전후 시간대에는 2도어·데크가 있는 급행열차용 차량(165계 전동차 또는 우쓰이 고개용 169계 전동차)을 투입하는 등의 임시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했다.
사건의 원인 중 하나였던 해당 열차는 모두 급행형 전동차 운용이었고, 손잡이가 없는 급행 전동차에 승객이 '콩나물시루'처럼 꽉 찬 것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철도 저널리스트 우메하라 준은 차량 문제를 "하나의 요인"으로 보고, 매일 계속되는 준법투쟁으로 차량 운용이 혼란에 빠진 점과, 제시간에 와야 할 열차가 오지 않은 점을 중시하며, 준법 투쟁을 "어리석은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4. 2. 노동조합의 강경 투쟁
1970년대 일본 국철에서는 임금 인상, 노동 환경 개선, 정리해고 반대를 위한 노동쟁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1] 일본 법률상 공공기업체 직원인 국철 노동조합의 노동쟁의는 '''공공기업체등노동관계법'''에 의해 금지되었기에, 조합은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준법투쟁을 전개했다.[1]당시 일본은 베이비붐 세대로 인해 통근·통학 승객이 증가하는 추세였고, 열차는 한계 인원을 넘어 운행되는 경우가 많아 철도원의 근무는 과도했다. 이에 국철 노동자들은 법규를 준수하는 태업을 전개,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시켜 시간표대로 운행되지 않게 만들었다.
준법투쟁으로 인해 승객들은 살인적인 혼잡과 지연을 겪었고, 수도권 생활물자 수송 등에 정체가 발생해 물가가 오르는 등 불만이 높아졌다. 특히 말생운동 좌절 이후 국철 직원들의 태만하고 오만한 업무 태도에 대한 불만이 컸으며, '국철 직원 전용 열차'와 같이 기재 사유화의 극치도 보여주었다.[7]
국철노련 선전부는 "영향력이 크고 효과가 있기 때문에"라는 이유로 승무원들에게 통근 열차를 대상으로 준법투쟁을 하도록 지시했다.[7] 스스로의 의식을 과대하게 부풀린 국철노련·국철동력노련 조합원들의 횡포 또한 사건의 배경 중 하나였다.[7]
1975년 3월, 국철 본사 수도권 본부장으로 이동한 오제키 마사노리는 노조의 문제점과 관련지어 현장 직원 상호 간의 신뢰 부족, 본심과 형식의 이탈을 지적했다.[7]
아사히 신문은 이러한 투쟁이 계속될 경우 폭동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상했고, 전국샐러리맨동맹 대표 위원 아오키 시게루는 공무원의 파업권 자체는 필요하지만, 잦은 준법투쟁은 동정할 수 없다고 논평했다.[1]
4. 3. 도시화와 통근 인구 급증
1970년대 일본에서는 전후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급증과 시가지 확대로 통근·통학 승객이 계속 증가했다. 특히 제22회 국민체육대회 선수촌 부지에 건설된 단지는 이러한 도시화를 가속화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었다.[11] 1967년 약 7만 명이었던 상오시(上尾市)의 인구는 1973년 약 13만 명으로 급증했다.[12]이러한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는 통근 교통난을 심화시켰다. 1973년 경찰백서는 "급격한 도시화의 진전과 국민 의식의 변화에 따라 종래에는 예상도 되지 않았던 여러 가지 사건"으로 아게오 사건을 언급하며, 주택지화를 위한 인구 증가를 배경으로 지적했다.
국철(國鐵)은 연선 인구 증가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1972년 12월 25일 인터뷰에서 오오키 히데오(大木英夫) 다카사키 철도 관리국장은 단지 조성에 대해 언급하며, "다카사키선(高崎線)의 수송력을 늘린다고 해도 오쿠(尾久) - 오지(王子) 간은 7분 헤드가 한계다", "장래에는 다카사키선을 복복선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3] 이는 당시 철도 인프라 확충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4. 4. 정보 전달 시스템 미비
1970년대 일본 국철은 노동쟁의가 빈번했고, 특히 준법투쟁이라 불리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는 법규를 준수하며 운행하는 태업의 일종으로, 열차 운행을 지연시켜 승객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8]아게오 사건과 수도권 국전 폭동은 이러한 준법투쟁을 직접적인 원인으로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운송 장애 발생 시 정보 전달 시스템의 부재가 문제였다.[8] 당시 국철은 유선 통신 시스템에 의존하여 CTC(열차집중제어장치)와 ATS(자동열차정지장치) 구축에는 성공했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 도입에는 소홀했다.[8] 오제키 마사노리는 "매일 아침 통근하는 1000만 명의 도쿄 3국 내 승객이 차내에서는 전혀 정보가 단절된 상태"라며, 신호기 외에 정보 전달 수단이 없어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다고 지적했다.[8]
당시 국철은 전국적인 일제 전달, 방송 설비도 갖추고 있지 않아 정보 전달에 어려움을 겪었다.[9] 또한, 통신 설비가 승객과 접촉하는 장소에 있어 파손 위험이 높았고, 예비품과 이동 기기 부족 문제도 있었다.[9]
사토 킨지는 "수송 혼란 시에는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필요하며, 정보의 수집 전달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하며, 게이오 전철 등 일부 사철에서 도입하던 TTC를 대책으로 제시했다.[8]
전화 안내 강화, 철도 전화망 현대화, 전신 자동화 등은 1973년도부터 계획되었으나,[19] 정보 시스템의 본격적인 운용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국철은 재래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운행 관리 시스템 개발에 힘썼으나, 당시 컴퓨터 성능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는 분산 시스템 개념을 도입한 ATOS가 도입되는 1990년대 후반에야 해결되었다.
5. 사건의 영향 및 여파
사건 다음날, 국철과 경찰은 치안 유지를 위해 기동대원을 배치했으나, 별다른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노동조합 측은 조합원의 안전 문제를 이유로 준법투쟁을 해제하였다.[6] 그러나 일부 조합은 “아게오 역 폭동은 정부 측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는 이유로 준법투쟁을 재개하였으며, 이는 한 달 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지게 된다.[6]
이 사건의 원인이 된 파업·준법투쟁의 영향(3월 5일부터 12일까지)은 다음과 같다.[6]
항목 | 내용 |
---|---|
운행 중지 | 약 3만 5천 편 (여객열차: 약 1만 2천 편, 화물열차: 약 2만 1천 편) |
영향 인원 | 누계 약 8400만 명 |
화물 감소량 | 약 260만 톤 |
여객 부상자 | 92명 |
이소자키 국철 회장은 이 사건을 “전례 없는 불상사”라고 표현했다.[6] 2년 후 파업권 파업에서는 트럭 대행 수송이 홋카이도 총국 관내의 생활물자(양파, 감자) 수송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일본통운, 삿포로통운, 동일본페리가 수송을 담당했다.
사건을 계기로 동일본여객철도 노동조합(동노)도 준법투쟁을 중단했다. 하지만 노사협상이 결렬되면서 동노는 4월에 준법투쟁을 재개했다. 1975년 파업권 파업이 실패로 끝난 이후에도 파업은 계속되었다. 4월 24일 아카바네역 에서의 혼란은 이용객들의 불만을 다시 폭발 시켰고, 38개 역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수도권 국철망이 마비, 600만 명 이상의 발이 묶이는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발전했다.
사건 후, 국철노조 도쿄 지부의 직장 집회와 전차 구분회에서는 참가한 승무원들로부터 "수도권에서의 순법은 싫다", "다카사키선에서 하는 것은 무섭다"는 의견이 속출했다.
국철은 러시아워에 급행형 전철 투입을 중단하기 위해 1973년 4월에 근교형 전철인 115계 전차 300번대 42량을 긴급 발주했다. 1975년까지 아게오 역을 아침 러시아워에 발착하는 전철에서는 급행형 전철이 배제되었다. 1986년 이후에는 211계 전차가 투입되기 시작했고, 2000년부터는 E231계 전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1973년부터 “통신 운용 체계 현대화 계획”에 따라 전화 안내 강화, 철도 전화망의 현대화(유인 교환소의 100% 자동 교환화, PBX의 전 관리국 배치), 전신 자동화 등이 추진되었다.[19] 정보 시스템의 본격적인 운용을 위해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했다. 당시 목표로 한 시스템을 구현한 존재로 사철의 운행 관리 시스템이 있었다.
사토 킨지(佐藤金司)는 정보 시스템에 요구하는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했다.[20]
# 수도권 철도의 운행 관리 정보 시스템의 홀 플랜 만들기
# 홀 플랜은 국전 구간의 ATC화, 수송력 증강 계획과 연계
# 시스템 설계에서 지령 센터에서 현장 역구역으로의 정보 전달을 중시
# 전화에 의한 정보 서비스를 이러한 시스템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고려
# 장래 계획에 되돌아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선행 (예: 열차 무선)
국철 당국은 재래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운행 관리 시스템 개발에 힘써, 1980년대 후반에 ‘TRAPS’를 개발했다. 그러나 당시의 컴퓨터 성능과 시스템 개념으로는 요구 능력에 대응하기 어려웠고, 보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문제는 히타치 제작소 주도로 분산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도입한 ATOS가 도입되는 1990년대 후반에 전환을 맞이했다. 2000년대 후반에는 PC를 설치한 건물에 대한 고정 회선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단말기에서의 이용도 포함한 지리 안내 정보 서비스가 보급되었다.
사건 후, 총평은 오시마 토지타로 도요대학 교수를 중심으로 조사위원회를 설치하여 “폭동과 파괴 수법에 국철 사정을 알지 못하고서는 할 수 없는 점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아, 투쟁의 탄압을 노린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것임이 명백해졌다”고 발표했다. 주요 근거로는 운전실 배전반이 열려 저압 회로 스위치만 파괴된 점, 수도권 국전 폭동에서 현업 직원만이 아는 발염통 보관 장소에서 발염통이 사용된 점 등을 제시했다.[14] 이에 대해 경찰청 경비국 나카지마 참사관은 “배전반이나 발염통도 운전석에 들어가면 바로 눈에 띄고 누구든 손을 댈 수 있는 것"이라며 반박했고, 기동대 현장 도착 지연에 대해서도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14] 그 후 총평과 국철노조는 음모론(백색테러설)을 주장하지 않았다.
일수회의 스즈키 쿠니오는 “〈폭동〉의 일부는 우리가 일으켰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차 안에서 “파업 반대!” 등의 슬로건을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불법 파업에 맞서 일어서라!”, “폭동을 일으켜라!” 등 연설을 한 것에 불과했다. 승객들은 특별히 나무라지도 않았지만 동의하지도 않았고, 이에 “왜 일어서지 않는 거냐!”, “너희들은 공산주의자의 추종자냐!”라고 고함쳤다고 한다.[15]
사건을 계기로 동일본여객철도 노동조합(동노)도 순법투쟁을 중단했다. 하지만 노사협상 결렬로 동노는 4월에 순법투쟁을 재개했다. 4월 24일 아카바네 역에서의 혼란을 계기로 열차가 도착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만이 다시 폭발했다. 38개 역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수도권 국철망이 마비되고 600만 명 이상의 발이 묶이는, 아게오 사건 이상의 대혼란인 '''수도권 국전 폭동'''으로 발전했다. 국철노조·동노의 파업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 것은 1975년 말 파업권 파업이 실패로 끝난 이후였지만, 파업은 계속되었다.
사건 후, 국철노조 도쿄 지부 직장 집회와 전차 구분회에서는 참가한 승무원들로부터 "수도권에서의 순법은 싫다", "다카사키선에서 하는 것은 무섭다"는 의견이 속출했다. 이후 노조 지시로 순법을 명령받더라도 순법투쟁을 하지 않고, 지연이 없어도 노조에 "○분 지연되었다"고 보고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아게오 사건은 국철의 여러 문제점들을 드러내며, 이후 일본 철도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건 다음 날, 국철과 경찰은 치안 유지를 위해 기동대원을 배치했지만, 노동조합은 조합원 안전 문제를 이유로 준법투쟁을 해제했다.[16] 그러나 일부 조합은 “아게오 역 폭동은 정부 측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며 준법투쟁을 재개했고, 이는 한 달 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졌다.[16]
이 사건은 국철 분할 민영화 논의의 중요한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국철은 노동 문제, 님비(NIMBY) 현상 심화로 인한 주민 운동, 그리고 재정 적자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16] 1974년 국철 수도권 본부는 「수도권 통근 교통 현황 타개를 위한 제언」을 발표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승객 심리적 불안을 고려한 정보 제공, 통근 교통 체계 계획의 종합적 수립, 건설 비용 및 운영 비용의 공정한 부담, 이용객의 시차 출퇴근 장려, 도심 집중 완화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16]
사건 이후, JR 동일본은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국철은 러시아워에 급행형 전철 투입을 중단하기 위해 115계 전차 300번대를 긴급 발주했고,[16] 이후 211계 전차, E231계 전차 등 신형 차량을 투입하여 혼잡 완화와 승하차 시간 단축을 꾀했다.[16]
장기적으로 교통 인프라 개선도 이루어졌다. 사이쿄선 건설은 아게오 사건의 영향으로 가속화되었다. 다카사키 선 인근 주민들은 도쿄 도심과 사이타마현 남부를 잇는 통근 노선인 사이쿄선 건설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고, 이는 신문에도 보도되었다.[18] 1985년 사이쿄선 개통으로 오미야 이남의 통근 수요가 분산되어 다카사키 선의 혼잡 완화에 기여했다.[18]
또한,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통으로 조에쓰선 경유 주간 특급 열차가 대폭 감축되었고, 1997년 호쿠리쿠 신칸센 일부 개통 및 재래선 노선 분단으로 신에쓰 본선 직통 특급 열차가 전폐되었다. 블루트레인도 항공기 등 다른 교통 수단 발달로 축소·폐지되면서, 확보된 선로 용량은 통근 열차 증편에 활용되었다.[16]
5. 1. 국철과 노동조합의 대응
사건 다음날, 국철과 경찰은 치안 유지를 위해 기동대원을 배치했으나, 별다른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노동조합 측은 조합원의 안전 문제를 이유로 준법투쟁을 해제하였다.[6] 그러나 일부 조합은 “아게오 역 폭동은 정부 측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는 이유로 준법투쟁을 재개하였으며, 이는 한 달 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지게 된다.[6]이 사건의 원인이 된 파업·준법투쟁의 영향(3월 5일부터 12일까지)은 다음과 같다.[6]
항목 | 내용 |
---|---|
운행 중지 | 약 3만 5천 편 (여객열차: 약 1만 2천 편, 화물열차: 약 2만 1천 편) |
영향 인원 | 누계 약 8400만 명 |
화물 감소량 | 약 260만 톤 |
여객 부상자 | 92명 |
이소자키 국철 회장은 이 사건을 “전례 없는 불상사”라고 표현했다.[6] 2년 후 파업권 파업에서는 트럭 대행 수송이 홋카이도 총국 관내의 생활물자(양파, 감자) 수송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일본통운, 삿포로통운, 동일본페리가 수송을 담당했다.
사건을 계기로 동일본여객철도 노동조합(동노)도 준법투쟁을 중단했다. 하지만 노사협상이 결렬되면서 동노는 4월에 준법투쟁을 재개했다. 1975년 파업권 파업이 실패로 끝난 이후에도 파업은 계속되었다. 4월 24일 아카바네역 에서의 혼란은 이용객들의 불만을 다시 폭발 시켰고, 38개 역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수도권 국철망이 마비, 600만 명 이상의 발이 묶이는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발전했다.
사건 후, 국철노조 도쿄 지부의 직장 집회와 전차 구분회에서는 참가한 승무원들로부터 "수도권에서의 순법은 싫다", "다카사키선에서 하는 것은 무섭다"는 의견이 속출했다.
국철은 러시아워에 급행형 전철 투입을 중단하기 위해 1973년 4월에 근교형 전철인 115계 전차 300번대 42량을 긴급 발주했다. 1975년까지 아게오 역을 아침 러시아워에 발착하는 전철에서는 급행형 전철이 배제되었다. 1986년 이후에는 211계 전차가 투입되기 시작했고, 2000년부터는 E231계 전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1973년부터 “통신 운용 체계 현대화 계획”에 따라 전화 안내 강화, 철도 전화망의 현대화(유인 교환소의 100% 자동 교환화, PBX의 전 관리국 배치), 전신 자동화 등이 추진되었다.[19] 정보 시스템의 본격적인 운용을 위해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했다. 당시 목표로 한 시스템을 구현한 존재로 사철의 운행 관리 시스템이 있었다.
사토 킨지(佐藤金司)는 정보 시스템에 요구하는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했다.[20]
# 수도권 철도의 운행 관리 정보 시스템의 홀 플랜 만들기
# 홀 플랜은 국전 구간의 ATC화, 수송력 증강 계획과 연계
# 시스템 설계에서 지령 센터에서 현장 역구역으로의 정보 전달을 중시
# 전화에 의한 정보 서비스를 이러한 시스템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고려
# 장래 계획에 되돌아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선행 (예: 열차 무선)
국철 당국은 재래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운행 관리 시스템 개발에 힘써, 1980년대 후반에 ‘TRAPS’를 개발했다. 그러나 당시의 컴퓨터 성능과 시스템 개념으로는 요구 능력에 대응하기 어려웠고, 보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문제는 히타치 제작소 주도로 분산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도입한 ATOS가 도입되는 1990년대 후반에 전환을 맞이했다. 2000년대 후반에는 PC를 설치한 건물에 대한 고정 회선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단말기에서의 이용도 포함한 지리 안내 정보 서비스가 보급되었다.
5. 2. 사회적 파장
사건 다음날, 국철과 경찰은 치안 유지를 위해 기동대원을 배치했지만, 별다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노동조합 측은 조합원 안전 문제를 이유로 준법투쟁을 해제했다. 그러나 일부 조합은 “아게오 역 폭동은 정부 측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며 준법투쟁을 재개했고, 이는 한 달 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졌다.[14]사건 후, 총평은 오시마 토지타로 도요대학 교수를 중심으로 조사위원회를 설치하여 “폭동과 파괴 수법에 국철 사정을 알지 못하고서는 할 수 없는 점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아, 투쟁의 탄압을 노린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것임이 명백해졌다”고 발표했다. 주요 근거로는 운전실 배전반이 열려 저압 회로 스위치만 파괴된 점, 수도권 국전 폭동에서 현업 직원만이 아는 발염통 보관 장소에서 발염통이 사용된 점 등을 제시했다.[14] 이에 대해 경찰청 경비국 나카지마 참사관은 “배전반이나 발염통도 운전석에 들어가면 바로 눈에 띄고 누구든 손을 댈 수 있는 것"이라며 반박했고, 기동대 현장 도착 지연에 대해서도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14] 그 후 총평과 국철노조는 음모론(백색테러설)을 주장하지 않았다.
일수회의 스즈키 쿠니오는 “〈폭동〉의 일부는 우리가 일으켰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차 안에서 “파업 반대!” 등의 슬로건을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불법 파업에 맞서 일어서라!”, “폭동을 일으켜라!” 등 연설을 한 것에 불과했다. 승객들은 특별히 나무라지도 않았지만 동의하지도 않았고, 이에 “왜 일어서지 않는 거냐!”, “너희들은 공산주의자의 추종자냐!”라고 고함쳤다고 한다.[15]
사건을 계기로 동일본여객철도 노동조합(동노)도 순법투쟁을 중단했다. 하지만 노사협상 결렬로 동노는 4월에 순법투쟁을 재개했다. 4월 24일 아카바네 역에서의 혼란을 계기로 열차가 도착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만이 다시 폭발했다. 38개 역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수도권 국철망이 마비되고 600만 명 이상의 발이 묶이는, 아게오 사건 이상의 대혼란인 '''수도권 국전 폭동'''으로 발전했다. 국철노조·동노의 파업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한 것은 1975년 말 파업권 파업이 실패로 끝난 이후였지만, 파업은 계속되었다.
사건 후, 국철노조 도쿄 지부 직장 집회와 전차 구분회에서는 참가한 승무원들로부터 "수도권에서의 순법은 싫다", "다카사키선에서 하는 것은 무섭다"는 의견이 속출했다. 이후 노조 지시로 순법을 명령받더라도 순법투쟁을 하지 않고, 지연이 없어도 노조에 "○분 지연되었다"고 보고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5. 3. 장기적인 영향
아게오 사건은 국철의 여러 문제점들을 드러내며, 이후 일본 철도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건 다음 날, 국철과 경찰은 치안 유지를 위해 기동대원을 배치했지만, 노동조합은 조합원 안전 문제를 이유로 준법투쟁을 해제했다.[16] 그러나 일부 조합은 “아게오 역 폭동은 정부 측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며 준법투쟁을 재개했고, 이는 한 달 후 수도권 국철 폭동으로 이어졌다.[16]이 사건은 국철 분할 민영화 논의의 중요한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국철은 노동 문제, 님비(NIMBY) 현상 심화로 인한 주민 운동, 그리고 재정 적자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16] 1974년 국철 수도권 본부는 「수도권 통근 교통 현황 타개를 위한 제언」을 발표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승객 심리적 불안을 고려한 정보 제공, 통근 교통 체계 계획의 종합적 수립, 건설 비용 및 운영 비용의 공정한 부담, 이용객의 시차 출퇴근 장려, 도심 집중 완화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16]
사건 이후, JR 동일본은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국철은 러시아워에 급행형 전철 투입을 중단하기 위해 115계 전차 300번대를 긴급 발주했고,[16] 이후 211계 전차, E231계 전차 등 신형 차량을 투입하여 혼잡 완화와 승하차 시간 단축을 꾀했다.[16]
장기적으로 교통 인프라 개선도 이루어졌다. 사이쿄선 건설은 아게오 사건의 영향으로 가속화되었다. 다카사키 선 인근 주민들은 도쿄 도심과 사이타마현 남부를 잇는 통근 노선인 사이쿄선 건설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고, 이는 신문에도 보도되었다.[18] 1985년 사이쿄선 개통으로 오미야 이남의 통근 수요가 분산되어 다카사키 선의 혼잡 완화에 기여했다.[18]
또한,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통으로 조에쓰선 경유 주간 특급 열차가 대폭 감축되었고, 1997년 호쿠리쿠 신칸센 일부 개통 및 재래선 노선 분단으로 신에쓰 본선 직통 특급 열차가 전폐되었다. 블루트레인도 항공기 등 다른 교통 수단 발달로 축소·폐지되면서, 확보된 선로 용량은 통근 열차 증편에 활용되었다.[16]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아게오 사건은 단순한 폭동 사건을 넘어, 당시 일본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드러낸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1970년대 한국의 경제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노동 문제와 사회적 갈등과 비교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공공 서비스의 질 저하는 시민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이는 극단적인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국 사회 역시 공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둘째, 건강한 노사 관계 정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게오 사건은 노사 간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사회 전체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사회 역시 상생의 노사 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노사 간의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셋째, 성숙한 시민 의식 함양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아게오 사건 당시 일부 시민들의 폭력적인 행동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 사회 역시 성숙한 시민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 시민들의 의식 개선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철도통신』지에서는 시간이 지나면 문제가 잊혀지고 방치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지적하고 있다.[21] 이는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과거의 사건에서 교훈을 얻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조
[1]
뉴스
1973-03-13
[2]
서적
明治・大正・昭和・平成 事件・犯罪大事典
東京法経学院出版
2002
[3]
Youtube
34 - 国電乗客暴動 - 1973
https://www.youtube.[...]
2022-10-29
[4]
뉴스
1973-03-13
[5]
뉴스
今闘争最大の影響
1973-03-13
[6]
뉴스
国鉄職員に訴える 磯崎総裁
1973-03-25
[7]
간행물
首都圏を展望する
1976-04
[8]
간행물
首都圏を展望する
1976-04
[9]
간행물
今日の話題
1973-05
[10]
간행물
首都圏における当面の課題
1973-09
[11]
뉴스
冷遇されていた地帯 開発に追いつけぬ本数
1973-03-13
[12]
뉴스
「箱族の街」舟越健之輔(上尾市)
http://mytown.asahi.[...]
2007-01-19
[13]
간행물
高鉄局の展望
交通問題研究社
1973-02
[14]
뉴스
1973-07-17
[15]
웹사이트
今週の主張・2002年8月5日 元「革マルNo.2」と右翼落ちこぼれ。 二匹の〈鬼〉が闘った。
http://kunyon.com/sh[...]
2002-08-05
[16]
간행물
1974-12
[17]
간행물
公共工事と住民パワー
1992-04
[18]
뉴스
高崎線開業100年 新たな発展へ "痛勤" 年100億の利益(首都圏レポート)
1983-07-29
[19]
간행물
通信運用体系近代化
1973-06
[20]
간행물
首都圏輸送の日々に思う...
1976-04
[21]
간행물
今日の話題
1973-05
[22]
뉴스
新幹線の話に花咲かす ザンビア共和国ムリキタ大臣が訪問
1973-03-14
[23]
뉴스
人・脈・記 手をつなげ ガンバロー8 国鉄の客 暴徒になった
2007-10-11
[24]
뉴스
山岸章・連合顧問 是は是 非は非:4(ビジネス戦記)「スト権スト」徹底させた 何も成果なく高い授業料 総評式崩壊のきっかけに
1994-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